시스템을 운영하다보면 내부 IP, 외부 IP 정보를 확인하고 제공해야하는 경우가 생깁니다.
내부 IP는 사설 IP나 로컬 IP로도 불리우며, 일반 가정이나 회사에서 할당된 네트워크 IP 주소입니다.
외부 IP는 공인 IP로도 불리우며, 인터넷 사용자의 로컬 네트워크를 식별하기 위해 인터넷 서비스 공급자(ISP)가 제공하는 IP 주소입니다.
따라서, 내부망에 있는 서버에 접속을 할 경우에는 내부 IP 정보를 제공하여 접속 권한을 얻으면 되고,
외부 서버에 접속을 할 경우에는 외부 IP 정보를 제공하여 접속 권한을 얻으면 됩니다.
그럼 이제 내부 IP, 외부 IP 확인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내부IP 확인방법
1) Windows키 + R키를 눌러 "cmd"를 입력합니다.
2) 커맨드 창이 나오면 "ipconfig"를 입력 후 엔터를 누릅니다.
3) 무선랜으로 연결할 경우, 무선 LAN 어댑터의 IPv4 주소를 확인하시면 되고,
이더넷으로 연결할 경우, 이더넷 어댑터의 IPv4 주소로 확인하시면 됩니다.
2. 외부 IP 확인방법
1) Windows키 + R키를 눌러 "cmd"를 입력합니다.
2) 커맨드 창이 나오면 "nslookup myip.opendns.com resolver1.opendns.com"를 입력 후 엔터를 누릅니다.
3) 위 사진의 빨간색 영역으로 표시된 부분이 외부 IP입니다.
외부 IP를 확인하는 다른 방법으로 포탈 사이트에서 검색을 하는 방법도 있습니다.
2.1 네이버 (http://www.naver.com)
네이버 검색 창에 "외부 IP 확인"을 검색하면 아래에 보이는 IP 주소가 외부 IP 주소입니다.
2.2 구글 (http://www.google.com)
구글 검색 창에 "what is my ip"를 검색하면 아래에 보이는 IP 주소가 외부 IP 주소입니다.
이렇게 내부 IP, 외부 IP를 확인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외에도 IP를 확인하는 방법은 다양하게 있으니, 편하신대로 사용하면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