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데이터베이스

(2)
[Postgresql] 대소문자를 구분하는 Postgresql Postgresql에서 테이블이나 함수, 프로시저를 생성할 때, 주의해야할 점이 있는데 대소문자를 혼용하여 명명할 경우 모두 소문자로 생성이 된다는 점입니다. Postgresql에서는 소문자를 사용하여 명명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어쩔 수 없이 대문자를 혼용해서 써야한다면 "" 기호를 사용하여 대문자를 사용할 수도 있습니다. 테이블, 함수, 프로시저를 생성할 때 뿐만 아니라 이미 만들어진 테이블에서 조회를 하거나 함수를 실행할 때도 대소문자를 구분하기 때문에 이름을 잘 확인해야할 필요가 있습니다. 아래 예시를 보시겠습니다. select * from test.test_table; select * from test.Test_table; select * from test.test_Table; test_tabl..
[오라클] INVALID 상태 OBJECT 컴파일 방법 오라클 사용자의 경우 INVALID 상태인 OBJECT들을 종종 볼 수 있는데, 연관있는 OBJECT들이 ALTER나 DROP 되었을 경우 의존관계가 깨지면서 발생합니다. 대게는 실행 시 자동으로 컴파일 되지만, 오류가 있다면 컴파일이 되지 않고 에러가 발생합니다. 해당 OBJECT들이 INVALID 상태가 되면 실행이 불가하기 때문에 모니터링 프로시저를 작성해 INVALID 상태인 OBJECT들이 있는지 주기적으로 확인하는 것도 하나의 방법입니다. - OBJECT TPYE : VIEW, FUNCTION, TRIGGER, PROCEDURE, PACKAGE, PACKAGE BODY 그럼 INVALID 상태의 OBJECT를 확인하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1. INVALID 상태의 OBJECT 확인 SELE..